|
|
| 주휴수당 뜻 계산법 |
주휴수당은 권리입니다. 다만 “얼마를 받아야 정상인지” 계산 구조를 모르시면 놓치기 쉽습니다. 이번 편에서는 복잡한 설명 대신, 공식 하나와 간단한 절차, 그리고 바로 써먹는 예시로 핵심만 정리했습니다.
◈ 주휴수당을 스스로 계산할 수 있으면, 급여가 제대로 반영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.
◈ 주 15시간 충족과 개근 여부를 먼저 점검한 뒤, 공식에 숫자만 넣으면 금액이 나옵니다.
이제 공식부터 예시까지 순서대로, 빠르게 살펴보겠습니다.
핵심 한 줄 요약
주휴수당 = (주 근로시간 ÷ 40) × 8 × 시급
적용 전 확인해야 할 기본 조건
◈ 그 주에 약속한 근무를 결근 없이 채우셨는지
◈ 실제 주 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인지
두 가지가 충족되어야 계산 결과가 유효합니다.
계산법 ,순서대로 따라 하기
1) 이번 주에 실제로 일한 총 시간을 먼저 합산합니다.
2) 그 시간을 40으로 나눕니다.
3) 나온 값에 8을 곱합니다.
4) 마지막으로 시급을 곱합니다.
이렇게 산출한 값이 해당 주의 주휴수당입니다.
공식 이해 포인트
◈ 40시간은 법정 주 근로시간을 뜻합니다.
◈ 8시간은 유급휴일 1일의 기준 시간입니다.
◈ 주 40시간을 꽉 채우지 않아도, 비율만큼 유급휴일이 산정됩니다.
예시로 바로 계산해 보기
◈ 주 20시간 근무, 시급 10,000원
(20 ÷ 40) × 8 × 10,000 = 40,000원
주휴수당 = 40,000원
◈ 주 30시간 근무, 시급 10,000원
(30 ÷ 40) × 8 × 10,000 = 60,000원
주휴수당 = 60,000원
15시간 미만이라면
세금 반영 후 실수령액
주휴수당은 과세 대상 임금에 포함됩니다. 따라서 계산기 결과와 통장에 입금되는 금액 사이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. 세전과 세후를 구분해 확인하시는 것이 안전합니다.
◈ 계산 도구 활용
‘주휴수당 계산기’로 대략적인 금액을 빠르게 확인하자. 입력값만 정확하면 감을 잡는 데 충분하다.
✅ 다음 글 예고
주휴수당 계산법을 알았다면, 이제
2025년 최저임금 인상에 따라 실제 주휴수당이 얼마나 달라지는지
궁금하시죠?
👉
2025년 최저임금과 주휴수당 변화에서 이어서 확인하세요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