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5 최저임금 10,030원 확정! 주휴수당은 얼마나 오를까? ( 주휴수당3편)

2025최저임금,최저시급


 2025년 최저임금이 확정되면서 주휴수당도 함께 달라집니다. 이번 편은 계산 공식을 길게 설명하기보다, “바뀐 최저임금 수치 → 주휴수당 변화 → 계산기 활용” 순서로 바로 실전에 쓰실 수 있도록 정리했습니다. 결론은 간단합니다. 

시급이 오르면 주휴수당도 함께 오릅니다. 계산기에서 시급과 주간 근로시간만 정확히 입력하시면, 금액을 빠르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

2025 최저임금 확정


◈ 2024년: 9,860원

◈ 2025년: 10,030원

◈ 인상폭: 170원, 인상률 약 1.7%



최저임금 인상이 주휴수당에 미치는 영향


주휴수당 산정식의 마지막 항목이 시급입니다. 시급이 올라가면 같은 조건에서 주휴수당도 함께 증가합니다.

◈ 공식 요지: (주 근로시간 ÷ 40) × 8 × 시급

핵심은 “주 15시간 이상 + 개근” 충족 여부를 먼저 확인하신 뒤, 계산기에 숫자만 넣는 것입니다.



예시 비교(2024년 → 2025년)


◈ 주 20시간 근무

2024년: (20 ÷ 40) × 8 × 9,860 = 39,440원

2025년: (20 ÷ 40) × 8 × 10,030 = 40,120원

변화: +680원

◈ 주 30시간 근무

2024년: (30 ÷ 40) × 8 × 9,860 = 59,160원

2025년: (30 ÷ 40) × 8 × 10,030 = 60,180원

변화: +1,020원

월·연 단위로 보면 더 분명합니다


◈ 주 20시간 기준

한 달(4주): +2,720원

1년(52주): +35,360원


◈ 주 30시간 기준

한 달(4주): +4,080원

1년(52주): +53,040원


계산기 활용 순서 확인


  1. 시급을 2025년 기준 10,030원으로 입력

  2. 이번 주 실제 근로시간 합계를 입력

  3. 개근 여부를 체크

  4. 산출 금액 확인 후, 급여명세서 반영 여부 점검




실무 팁


◈ 계약서 표기보다 실제 근로시간이 기준입니다. 15시간을 실제로 넘기면 대상이 됩니다.

◈ 지각·조퇴는 결근으로 보지 않으므로, 그 자체로 자격이 사라지지 않습니다.

◈ 주휴일은 특정 요일로 고정할 필요가 없습니다. 합의로 다른 요일로 지정 가능합니다.

◈ 주휴수당은 과세 대상 임금에 포함됩니다. 계산기 결과(세전)와 실수령액(세후)은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.


함께 보면 좋은 글


1편: 주휴수당 뜻과 지급기준 — 알바생이 꼭 알아야 할 기본

2편: 주휴수당 계산법 — 공식과 예시로 완벽 이해



👉저는 생활정보 외에도 운세·사주 블로그를 함께 운영하고 있어요. 

            아래 버튼을 눌러 구경해 보세요.




댓글 쓰기

다음 이전

본문하단

 

📞 사주상담 전화 걸기

상담 가능: 10:00 ~ 20:00 (주말 예약)
※ 휴일 상담은 예약만 가능합니다
※ 전화상담은 유료입니다